예적금 실수령 이자 계산방법?
방법은 아주 간단하다 네이버에 적금계산기 라고 쓰면 적금, 예금, 대출, 중도상환 수수료까지 알 수 있다. 다만 월 단위로 계산된 이자이므로 일단위로 계산되는 금융기관의 적금 이자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신협 적금 세후 수령액이 얼마일까?
저번 포스팅에서 신협과 시중은행 정기 예금적금 금리에 대해서 비교해보았는데 그 중하나인 신협 적금으로 1년 기준 6.5%의 일반과세로 세후 수령액을 임의로 계산해보았으니 참고 바란다. 30만 원을 1년 단리로 6.5% 이자를 주는 신협 레이디 4u적금에 넣는 다면 세전이자 세후 수령액은 370만 원 정도로 107,230원의 이자를 받게 된다.
비과세로 했을 때는 이자가 126,750원 / 세금우대시(우대세율9.5%)에는 114,709원으로 결과적으로 적금을 30만원씩 6.5%이율로 1년간 했을때 비과세 126,750원 > 세금우대 114,709원 > 일반과세 107,230원가 나온다. 적금의 상품이 많고 매달 금리가 바뀌니 풍차 돌리기 방법으로 매달 적금을 드는 것을 권장한다.
풍차 돌리기란?
풍차 돌리기는 매달 적금 상품에 가입해 변하는 금리에 대한 수혜를 톡톡히 보는 동시에 적금이 만기 시에 실수령액을 매달마다 받게 된다. 예를 들면 1년 만기 적금을 들게 된다면 1개월마다 적금을 들게 된다. 그럼 1년 동안 총 12개의 적금을 들게 될 것이다. 1년이 지나 적금이 만기 되면 매달마다 수령액을 받을 수 있어서 효율적이다.
같은 조건으로 예금 실수령액은 어떨까?
예금은 목돈이 있을 때 유리하다. 게다가 적금보다는 같은 이율로도 이자를 더 많이 받을 수 있다. 위와 같은 조건으로 360만 원을 한꺼번에 예금했을 경우 이자는 197,964원으로 적금 이자보다 높다
전세대출이자 계산기
대출이자 또한 계산이 가능하다. 원리금 균등, 원금균등, 만기 일시에 따라 대출이자가 다르다. 임의로 1억 원을 연이자율 3%로 3년을 대출받아 계산해 보았다. 원리금 균등으로는 총 대출이자가 4,692,355원/원금균등으로는 4,625,000원으로 그렇게 많이 차이가 나진 않는다.
하지만 만기 일시 총대출이자는 900만 원이나 된다. 잘 따져보고 상환방법을 고려하길 바란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정기적금 예금 금리비교와 적금 이자가 높은 은행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링크 첨부해드릴 테니 궁금하신 분들은 참고하길 바란다. https://moneyknow.tistory.com/8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이과세자의 기준, 부가세 신고 방법과 변동사항 (0) | 2023.01.18 |
---|---|
'예금적금 특판' 빠르게 찾는 사이트 모음 4곳 (0) | 2022.11.14 |
은행 적금금리 비교 사이트 추천 (0) | 2022.11.12 |
하루만 맡겨도 이자나오는 CMA(파킹통장) 금리 비교 (0) | 2022.11.08 |
신협과 시중은행 정기 예금적금 금리 비교, 적금이자 높은 은행 (0) | 2022.11.04 |
알뜰폰 통신사 아이즈 모바일 사용 찐후기(장점과 단점) (0) | 2022.11.03 |
알뜰폰 무제한 요금제 밸류컴 통신사 후기 개통까지 (0) | 2022.11.02 |